자연 속에 감추인 -황금비율 법칙(피보나치 법칙)
자연이 아름답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면 우리의 마음이
편안해지고 안정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자연이 어떤 규칙(피보나치수열)을
따르고 있고 그런 규칙적인 질서,규칙과 질서- 속에 조화와
아름다움의 상징인 황금비가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꽃잎의 수에, 잎차례의 규칙 속에, 씨앗의 배열 모습 속에,
나무의 가지치기 형식 속에, 등각 나선구조를 하고 있는
여러 자연물 속에 피보나치수열을 따르는 질서와 아름다움의
황금비가 숨겨있는지 마음의 눈을 떠 찾아보자!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비>
피보나치수열이란 12세기말 이탈리아의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처음 제안한 규칙적인 수의 배열을
말하는데 배열된 수를 살펴보면 인접한 두 수의 합이 다음에
나올 수가 된다는 수학적인 원리가 있다.
1 1 2 3 5 8 13 21 34 55 89......
예) 1+1=2, 1+2=3, 2+3=5, 3+5=8, 5+8=13, 8+13=21....
수학적 배열 수가 천연계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피보나치 수열에서 뒤의 수를 앞의 수로 나누어 보면
재미있는 결과가 나오는데 그 수가 증가할수록 어느
일정 수치 즉 조화와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비로 알려진
황금비 1.618이란 숫자에 접근한다는 것이다.
2/1=2 3/2=1.5 5/3=1.666 ....
피보나치수열이 단순한 수의 배열이라기 보다는
인간의 시각에 아름답고 조화속의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황금비의 비밀이 숨겨있다는 것은 대단한 자연의 신비가 아닐 수 없다.

<꽃잎의 수를 세어보자>
우리 주위에 피어있는 꽃잎의 수를 세어보면 나팔꽃 1장,

2장, 백합과

붓꽃은 3장,

벚꽃. 사과꽃. 채송화. 패랭이는 5장,

코스모스 8장, 금불초.

금잔화는 13개,

루드베키아 21장,
질경이와 데이지는 34장, 쑥부쟁이는 종류에 따라 55장과 89장으로
꽃잎 수가 피보나치수열인 1, 2, 3, 5, 8, 13, 21, 34, 55, 89...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꽃잎이 4장인 십자화과와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꽃잎의 수가 피보나치수열에 해당하는 수를 따른다.

<잎차례를 관찰해 보자>
잎차례란 식물의 줄기에서 잎이 나와 배열하는 방식을 말하며
전체 식물의 90%가 피보나치수열을 따라 규칙적이고 질서 있게 잎이 난다.
잎차례는 기호로 t번 회전하는 동안 n개의 잎이 나오는 비율인 t/n으로 표시하는데
여기서 t와 n의 수는 피보나치수열(1 2 3 5 8 13 21...)을 따르는 수로 구성되어 진다.
벚꽃, 사과는 2/5, 포플러. 장미. 배. 버드나무는 3/8, 갯버들.
아몬드는 5/13 의 잎차례를 갖는다.
잎차례가 피보나치수열을 따름으로 잎들이 질서 있게
배열됨으로 잎이 바로 위의 잎에 가리지 않고
최대한 많은 햇빛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잎차례의 t와 n의 숫자가 커갈수록 t/n 이
조화와 아름다움의 상징인 황금비 0.618..에
근접함을 통해 모든 잎들이 최적의 상태로 햇빛을
고르게 받을 수 있는 잎차례는 황금비임을 알 수 있다.
<씨앗의 배열>
해바라기 꽃 머리 안에서 씨앗이 배열된 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면 오른쪽과 왼쪽 두 개의 엇갈린 나선형
곡선을 따라 씨앗이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나선 개수를 세어보면 나선의 개수가
피보나치수열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해바라기 - 오른쪽 나선 개수 : 55개
왼쪽 나선 개수 : 89개

데이지 - 오른쪽 나선 개수 : 34개
왼쪽 나선 개수 : 55개
솔방울 - 오른쪽 나선 개수 : 8개
왼쪽 나선 개수 :13개

꽃 머리 안의 씨앗이 피보나치수열을 따라 배열됨으로
식물은 최소공간에 최대한 많은 씨앗을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나무의 가지치기>
나무는 성장하면서 원 둥치에서 가지들을 내게 된다.
이렇게 나무가 자라면서 처 나가는 가지의 숫자도
피보나치수열을 따라 늘어남을 관찰할 수 있다.

<등각나선구조 속의 피보나치수열>
피보나치수열을 이용하여 황금 직사각형들을
연속적으로 그린 후 반지름이 1, 2, 3, 5, 8인 호들을
연결하면 점점 커지는 하나의 아름다운 나선이 그려지는데

자연계의 앵무조개, 초식동물의 뿔 뿐만 아니라
태양계의 행성들의 배열과 은하계의 형태 등도 이 황금 등각나선 구조를 따른다.



<황금비(황금 분할)>
황금비란 인간에게 호감과 안정감 그리고 아름다움을 주는
가장 조화가 잡힌 비율로 자연계에서 쉽게 관찰되고
아름답고 균형 잡힌 인간의 신체 각 마디마디 구조에도 잘 나타나 있다.
신기하게도 황금비율을 응용해 만든 물건이나
건축물 등은 다른 비율을 사용해 만든 것에 비해 인간의 눈으로 볼 때
가장 편안함과 안정감을 준다.
역사적으로 고대 이집트의 불가사의한 피라미드는 황금비를
이용해 만들어져 가장 튼튼하고 안정된 건축물로 찬사를 받고 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 아름다움과 안정감, 균형을 모두 중시해 만든 걸작품인
파르테논 신전과 비너스상이 아름답고 안정감 있게 보이는 것도
황금비의 공식을 이용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뿐 아니라 현대에도 황금비는 건축, 조각, 회화, 공예 등
조형예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신용카드나 명함, 창문, 책 등
우리 생활 주변에서도 황금비를 이용해 만들어진 상품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사람들에게 무작위로 여러 가지의 사각형 모형을 제시하고
그중에서 그들의 눈에 가장 안정적으로 느껴지거나
또는 눈에 제일 먼저 들어오는 사각형을 고르라면 문화권,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대개의 사람들은 황금비율을 내재한 직사각형을 고른다.

또한 두 개의 막대기를 주고 십자가를 만들어 보라 하면
거의 모든 사람들은 황금분할의 점에 근사한 곳을 교차해 십자가를 만든다.

다양한 황금비 (황금분할) 도형

황금분할의 구도가 내재된 직사각형





각 개인에게 주신 고유한 인격과
달란트를 창조주 하나님의
섭리대로 행복하게 살아갈 이유와
가치를 발견하는 카스다 가족들이 됩시다.
시편139: 13 주께서 내 장부를 지으시며
나의 모태에서 나를 조직하셨나이다
14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신묘막측하심이라 주의 행사가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
15 내가 은밀한 데서 지음을 받고 땅의 깊은 곳에서
기이하게 지음을 받은 때에 나의 형체가
주의 앞에 숨기우지 못하였나이다
16 내 형질이 이루기 전에 주의 눈이 보셨으며
나를 위하여 정한 날이 하나도 되기 전에
주의 책에 다 기록이 되었나이다
17 하나님이여 주의 생각이 내게 어찌 그리
보배로우신지요 그 수가 어찌 그리 많은지요 x-text/html; charset=iso-8859-1" hidden=true volume="0" loop="-1" autostart="true" x-x-allowscriptaccess="never" invokeURLs="fals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