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의 잔디를 깎고 있으면 기막히게
싱그러운 풀 냄새를 맡을 수 있다.
이건 향기가 아니다.
대기에 인간의 숨결이 섞이기 전,
아니면 미처 미치지 못한 그 오지의 순결한 냄새다.
그러나 손가락에 물집이 잡히는 것도 모르고 오래도록
잔디에 가위질을 하는 것은 풀냄새 때문만은 아니다.
유년의 뜰을 떠난 후 도시에서 보낸,
유년기의 열 곱은 되는 몇십 년 동안에 맛본
인생의 쓴 맛.
내 몸을 스쳐간 일이라고는 믿어지지 않게
격렬했던 애증과 애환, 허방과 나락, 행운과 기적,
이런 내 인생의 명장면(?)에 반복해서 몰입하다 보면
그렇게 시간이 가버린다.
70년은 끔찍하게 긴 세월이다.
그러나 건져올릴 수 있는 장면이 고작 반나절
동안에 대여섯 번도 더 연속상연하고도 시간이
남아도는 분량밖에 안 되다니.
눈물이 날 것 같은 허망감을 시냇물 소리가 다독 거려준다.
그 물소리는 마치 다 지나간다.
모든 건 다 지나가게 돼 있다, 라고 속삭이는 것처럼 들린다.
그 무심한 듯 명랑한 속삭임은 어떤 종교의 경전이나
성직자의 설교보다도 더 깊은 위안과 평화를 준다.
박완서 <호미> 중에서
|
내 유년의 뜰엔 풀도, 봉숭아 꽃도,
뛰어 놀았던 뜨락도, 집 앞에 흐르는 시내도
바람에 넘실거리는 논 밭도 없다.
도시에서 나서 도시에서 자라, 그런 초록의 기억은 없지만
다행히 초등학교 시절 여름방학을 이용해 외할머니와
함께 했던 초록의 기억들이 조각조각 남아 살아 날 때가 있다.
그 때는 그것이 그리움이 될 줄 몰랐다.
바쁜일상에서, 외롭고, 힘들고, 지칠 때
가끔씩 내 기억속을 뒤집고 일어서는 그 때의
고즈넉하고 평화로운 풍경은 그 곳으로 가고싶은
마음으로 연결이 되어 한없이 그리움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그리운 외할머니의 다독임
모든 건 다 지나간다.
내 몸을, 내 맘을 스치고 지나가는 일 들
온 밤을 하얗게 세우게 했던 고민 들,
격렬한 소용돌이에 빨려 들것 같았던 순간,
이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았던 사랑과 행복,
더 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슬픔과 아픔,
그 순간에는 영원으로 이어 질 것 같았고
긴 터널 같기도 했던 일들
지금세월의 곱을 지나 되새겨 볼 때
반나절 동안 대여섯 번도 더 연속 상연하여 곱씹고도
시간이 남는 추억으로 파 묻히리......
지나고 나면 그리움이 되리.....
오늘 밖으로 나가 느꼈던 바람은 싱그러웠고
지금도 쉼없이 지나가고 있는 시간 위로
봄이 묻어 왔다.
그 위에 바쁨으로 덧칠하는 이 순간을 얹어
가슴에 묻는다.
2011년 2월 봄바람 묻어 오는 날 / 린
|